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땀 뜨 허우 한, 세번 생각하고 실행하라

2023. 1. 21.

 

땀 뜨 허우 한 소개

한국에서는 삼사일언(三思一言) 또는 삼사일행(三思一行)이라고 쓰지만 베트남에서는 비슷한 버전으로 <삼사후행 tam tư hậu hành 三思後行>이라는 사자성어를 씁니다. 

 

"세번 생각하고 행하라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어떤 일을 행할 때 신중을 기하고 여러번 심사숙고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졌으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suy nghĩ ba lần trước khi làm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am hậu hành
허우
석 三 생각할 思 뒤 後 행위 行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am tư hậu hành 삼사후행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am 삼 三

첫 번째 자인 tam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am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am = tam
ㅅ, ㅈ, ㅊ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am은 한국어로 [땀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삼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.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맹모삼천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만 머우 땀 티엔, 맹모 세번 이사하다

만 머우 땀 티엔 소개 일상에서 쓸일은 없지만 꽤 알려진 사자성어로 이 있습니다. "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했다"는 겉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Mẹ của Mạnh Tử đã b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재삼재사, 맹모삼천, ...

 

 

 

2. tư 사 思

두 번째 자 tư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ư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ư =
ㅅ, ㅈ, ㅊ 어, 아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ư는 한국어로 [뜨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사>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ư의 첫소리 tư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ư}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어}가 되고 그 다음에 {아} 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ư tưởng 뜨 뜨엉 思想 사상
suy tư 쉬 뜨 推思 추사
"생각에 잠기다"
(bệnh) tương tư (벤) 뜨엉 뜨 相思 상사(병)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생로병사, 재삼재사, 군자일언...

 

 

 

3. hậu 후 後

세 번째 자 hậu는 첫소리 h에 나머지소리 {âu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h + âu = hậu
어우 허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hậu는 한국어로 [허우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후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hậu의 첫소리 h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ㅎ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âu} 역시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우}가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hậu bối 허우 보이 後輩 후배
hậu chứng 허우 쯩 後症 후증
"후유증"의 의미
hậu duệ 허우 쥬에 後裔 후예
hậu phương 허우 프엉 後方 후방
hậu tôn 허우 똔 後孫 후손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선우후락, 전무후무, ...

 

4. hành 행 行

네 번째 자 hành은 첫소리 h에 나머지소리 {anh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h + anh = hành
엉/영, 앵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hành은 한국어로 [한] (북부: 하인) 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행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. 

 

 잠깐! 한자 行 자는 한국 한자음으로 2개 이상의 뜻과 음이 있으며 베트남음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. 여기서는 /갈 행, 행위 행/ 에 해당하는 hành 음만 다룹니다.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hành의 첫소리 h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ㅎ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nh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엉} 또는 {영}이 되고 그 다음에 {앵} 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hành chính 한 찐 行政 행정
hành động 한 동 行動 행동
hành vi 한 비 行爲 행위
chấp hành 쩝 한 執行 집행
thi hành 티 한 施行 시행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상행하효, ...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성어 사전에만 존재할 뿐 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잘 쓰이지는 않으며, 다만 쉬운 자들로 구성돼있어 베트남에서는 별도의 설명 없이도 누구나 이해하리라 생각됩니다.

 

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으로 생각하라
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으로 생각하라 (출처: Vietcetera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