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툭 투 보 삿, 손발이 묶인듯 어찌할 방책이 없다

2023. 3. 17.

 

툭 투 보 삿 소개

한국에서처럼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도 있는 사자성어 중에는 <속수무책 thúc thủ vô sách 束手無策>이 있습니다. 

 

"어찌할 도리나 방책이 없어 꼼짝을 못한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노자의 도덕경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하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không còn cách nào khác, bó tay chịu thua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húc thủ sách
묶을 束 손 手 없을 無 꾀 策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húc thủ vô sách 속수무책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húc 속 束

첫 번째 자인 thúc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u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uc = thúc
ㅅ, ㅊ, ㅌ 욱, 옥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úc은 한국어로 [툭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속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húc의 첫소리 th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uc}은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욱}이 되고 그 다음에 {옥} 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kết thúc 껫 툭 結束 결속 
"종료"의 의미

 

 

 

2. thủ 수 手

두 번째 자 thủ는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u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u = thủ
ㅅ, ㅊ, ㅌ 우/유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ủ는 한국어로 [투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수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수수방관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팔짱끼고 뚜 투 방 꽌으로 일관하다

뚜 투 방 꽌 소개 한국에서는 많이 쓰이지만 베트남에서는 거의 안쓰이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. "팔짱 끼고 보고만 있다"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나서야 할 일에 간여하지 않고 그대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엽락지추, 수수방관, ...

 

 

 

3. vô 무 無

세 번째 자 vô는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{ô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v + ô =
ㅇ, ㅁ 오, 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vô은 한국어로 [보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무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유명무실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흐우 잔 보 텃, 이런 개살구

흐우 잔 보 텃 소개 베트남에서도 거의 한국에서만큼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. "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, 껍데기는

kokovi.com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유일무이, 천하무적, 평안무사, ...

 

 

 

4. sách 책 策

네 번째 자 sách은 첫소리 s에 나머지소리 {ach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s + ach = sách
ㅅ, ㅊ 액, 억/역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sách은 한국어로 [삿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책>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sách의 첫소리 s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ㅊ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ach}은 과반을 훌쩍 넘기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액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chính sách 찐 삿 政策 정책
đối sách 도이 삿 對策 대책
phương sách 프엉 삿 方策 방책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한국과 달리 베트남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.

 

이와 별개로 이 사자성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는 bó tay라는 표현은 훨씬 가벼운 의미로 일상에서 매일 같이 접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&quot;툭 투 보 삿&quot;을 인용한 커버
속수무책 (출처: xiaoyingdiary)

 

 

 

함께 보기

 

베트남어로 "내가 졌다"

오늘의 한마디 일상대화에서 흔히 쓰는 표현이지만 한국어로는 한마디로 설명이 안되는 오늘의 한마디는 Bó tay 입니다. 몇가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. Bài tập hôm nay khó quá! Bó tay! 바이 떱

vnro.kokovi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