{ê}는 {에, 예}
오늘 다룰 나머지소리는 [에]라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나머지소리 {ê}입니다.
나머지소리 {ê}가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은 약 260 여개가 있으며, 이중 상당수가 한국 한자음으로 {에} 또는 {예}가 됩니다. 그 다음 순으로 큰 격차를 두고 한국 한자음으로 {어, 여}가 되고 그 다음에 {이}, {애}, {위} 등으로 이어집니다.
첫소리 | + | 나머지소리 | = | 한자어 |
ê | ||||
{ 에 } |
음의 비율 %
나머지소리 {ê}가/이 포함된 베트남 한자음 약 260여개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하면 {에}가 34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. 그 다음으로 {예}가 약 31%로 못잖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뒤이어 {어/여}가 약 19%, {이}가 약 8.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
이따금 한국 한자음으로 생뚱맞은 풀이가 되는 경우는 예외로 분류하는데 이중에서 교육부가 지정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 포함되었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활용도를 가진 자들은 함께 소개하고 있으나 나머지소리 {ê}의 경우 예외 중 활용도 높은 자가 없으므로 언급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목차
{에} ±34%
나머지소리 {ê}는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1순위로 {에}가 되며, 1/3에 해당하는 약 34%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{에}의 비율
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chế | 制 | 쩨 | 제 | chế độ 제도 |
chế | 製 | 쩨 | 제 | chế tác 제작 |
đế | 帝 | 데 | 제 | đế quốc 제국 |
đề | 題 | 데 | 제 | chủ đề 주제 |
tế | 際 | 떼 | 제 | quốc tế 국제 |
thế | 世 | 테 | 세 | thế kỷ 세기 |
thế | 勢 | 테 | 세 | xu thế 추세 |
thể | 體 | 테 | 체 | cụ thể 구체 |
trệ | 滯 | 쩨 | 체 | trì trệ 지체 |
단어장
- chế độ [쩨 도] 제도
- chế tài [쩨 따이] 제재
- cơ chế [꺼 쩨] 기제(메커니즘)
- đế chế [데 쩨] 제제(제왕이 정한 제도)
- hạn chế [한 쩨] 한제(제한)
- khống chế [콩 쩨] 공제("제압"의 의미)
- pháp chế [팝 쩨] 법제
- sáng chế [상 쩨] 창제
- tự chế [뜨 쩨] 자제("자체 제작")
- ức chế [윽 쩨] 억제
- chế tác [쩨 딱] 제작
- chế tạo [쩨 따오] 제조
- đế quốc [데 꾸옥] 제국
- hoàng đế [호앙 데] 황제
- thượng đế [트엉 데] 상제
- đề nghị [데 응이] 제의
- đề xuất [데 쑤엇] 제출(의견을 내어놓음)
- tiền đề [띠엔 데] 전제
- đề phòng [데 퐁] 제방("방지"의 의미)
- đề tài [데 따이] 제재(이야기의 재료, 주제)
- chủ đề [쭈 데] 주제
- mệnh đề [멘 데] 명제
- tiêu đề [띠에우 데] 표제
- vấn đề [번 데] 문제
- đệ nhất [데 녓] 제일
- huynh đệ [휜 데] 형제
- giao tế [자오 떼] 교제
- quốc tế [꾸옥 떼] 국제
- thực tế [특 떼] 실제
- tế lễ [떼 레] 제례
- thế gian [테 잔] 세간("세상"의 의미)
- thế giới [테 저이] 세계
- thế hệ [테 헤] 세계(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계통, "세대"의 의미)
- thế kỷ [테 끼] 세기
- thế nhân [테 년] 세인
- thế tục [테 뚝] 세속
- hậu thế [허우 테] 후세
- xử thế [쓰 테] 처세
- thế lực [테 륵] 세력
- khí thế [키 테] 기세
- quyền thế [뀌엔 테] 권세
- tình thế [띤 테] 정세(일의 사정이나 형편)
- tư thế [뜨 테] 자세
- ưu thế [으우 테] 우세
- xu thế [쑤 테] 추세
- thể chế [테 쩨] 체제
- thể dục [테 죽/육] 체육
- thể hiện [테 히엔] 체현("표현"의 의미)
- thể thao [테 타오] 체조("스포츠")
- thể tích [테 띳] 체적("부피"의 의미)
- cá thể [까 테] 개체
- cơ thể [꺼 테] 기체("신체"의 의미)
- cụ thể [꾸 테] 구체
- kháng thể [캉 테] 항체
- khí thể [키 테] 기체
- lập thể [럽 테] 입체
- thân thể [턴 테] 신체
- thi thể [티 테] 시체
- toàn thể [또안 테] 전체
- vật thể [벗 테] 물체
- trầm trệ [쩜 쩨] 침체
- trì trệ [찌 쩨] 지체
{예} ±31%
위에서 살폈듯 나머지소리 {ê}는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가장 큰 비율로 {에}가 되며, 그 다음 순으로 한국 한자음 속 {예}가 됩니다. 전체 대비 비율은 약 31%로 작지 않습니다.
{예}의 비율
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bế | 閉 | 베 | 폐 | bế mạc 폐막 |
hệ | 系 | 헤 | 계 | hệ thống 계통 |
hệ | 繫 | 헤 | 계 | quan hệ 관계 |
kê | 計 | 께 | 계 | thống kê 통계 |
kế | sinh kế 생계 | |||
lễ | 禮 | 레 | 례 | hôn lễ 혼례 |
lệ | 例 | 레 | 례 | ngoại lệ 외례(예외) |
nghệ | 藝 | 응에 | 예 | nghệ thuật 예술 |
phế | 廢 | 페 | 폐 | phế nhân 폐인 |
tệ | 弊 | 떼 | 폐 | tệ hại 폐해 |
tệ | 幣 | 떼 | 폐 | nhân dân tệ 인민폐 |
단어장
- bế mạc [베 막] 폐막
- bế tắc [베 딱] 폐색(가로막히다, 교착되다)
- bệ hạ [베 하] 폐하
- hệ thống [헤 통] 계통(시스템)
- liên hệ [리엔 헤] 연계("연락"의 의미)
- thế hệ [테 헤] 세계(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계통, "세대"의 의미)
- quan hệ [꽌 헤] 관계
- hệ luỵ [헤 뤼] 계루(얾매여 관련되다)
- liệt kê [리엣 께] 열계(병렬계산)
- thống kê [통 께] 통계
- kế hoạch [께 홧] 계획
- kế toán [께 또안] 계산
- mưu kế [므우 께] 모계(계교를 꾸미다)
- sinh kế [신 께] 생계
- thiết kế [티엣 께] 설계
- lễ phục [레 푹] 예복
- lễ vật [레 벗] 예물
- hôn lễ [혼 레] 혼례
- nghi lễ [응이 레] 의례
- tang lễ [땅 레] 상례(장례)
- thất lễ [텃 레] 실례
- vô lễ [보 레] 무례
- lệ thuộc [레 투옥] 예속
- nô lệ [노 레] 노예
- ngoại lệ [응와이 레] 외례(예외)
- phán lệ [판 레] 판례
- tiền lệ [띠엔 레] 전례
- tỉ lệ [띠 레] 비례
- thông lệ [통 레] 통례(널리 통하는 전례)
- thường lệ [트엉 레] 상례(일상적으로 흔히 있는 일)
- nghệ sĩ [응에 시] 예사(예술가)
- nghệ thuật [응에 투엇] 예술
- công nghệ [동 아] 공예("기술"의 의미)
- văn nghệ [반 응에] 문예
- phế nhân [페 년] 폐인
- phế truất [페 쭈엇] 폐출
- hoang phế [호앙 페] 황폐
- ngoại tệ [응와이 떼] 외폐(외국 화폐)
- nhân dân tệ [년 전 떼] 인민폐(중국의 화폐)
- tiền tệ [띠엔 떼] 전폐(화폐)
{어/여} ±19%
나머지소리 {ê}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{에}, {예}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풀이되는 음은 {어/여}이며, 약 19%를 차지합니다.
{어}의 비율
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để | 底 | 데 | 저 | triệt để 철저 |
lệ | 勵 | 레 | 려 | khích lệ 격려 |
thê | 悽 | 테 | 처 | thê thảm 처참 |
thê | 妻 | 테 | 처 | phu thê 부처(부부) |
그 수는 많지 않지만 상당한 활용도를 가진 자들입니다.
단어장
- khích lệ [킷 레] 격려
- thê lương [테 르엉] 처량
- thê thảm [테 탐] 처참
- thê thiếp [테 티엡] 처첩(아내와 첩)
- hiền thê [히엔 테] 현처(지혜로운 아내)
- phu thê [푸 테] 부처(부부, 남편과 아내)
- vị hôn thê [비 혼 테] 미혼처(약혼녀)
{이} ±8.5
나머지소리 {ê}를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{에}, {예}, {어}에 이어서 예외를 제외하고 다루는 마지막 음은 {이}으로, 전체 대비 약 8.5를 차지합니다.
{이}의 비율
아래는 첫소리 자음들과 결합했을 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.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mê | 迷 | 메 | 미 | mê tín 미신 |
phê | 批 | 페 | 비 | phê phán 비판 |
그 수는 적지만 대체 불가한 자들입니다.
단어장
- mê hoặc [메 확] 미혹
- mê tín [메 띤] 미신
- hôn mê [혼 메] 혼미(정신이 흐리다)
- phê bình [페 빈] 비평
- phê chuẩn [페 쭈언] 비준
- phê phán [페 판] 비판
기타 ±7.5%
그외에도 나머지소리 {ê}는 {의, 우} 등으로 다양하게 풀이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활용도가 적은 자들이며, 예외로 볼 수 있는 생뚱맞은 풀이로는 한국 한자음에는 없던 끝소리가 붙으며 {역, 열} 등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역시 활용도가 낮습니다.
나머지의 비율
그중에서 언급할 만한 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.
⚠ {위}가 되는 경우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vệ | 衛 | 베 | 위 | vệ sinh 위생 |
그 수는 적지만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자입니다. 다만 vệ의 경우 첫소리 v의 활음화 현상으로 활음 /w/가 추가되어 <이>로 풀이될 것이 <위>가 된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습니다.
☝ 첫소리 v의 활음화 현상
베트남 한자음의 첫소리 v는 한국 한자음로 풀이될 때에 한 가지 특징이 있는데 일종의 활음화 현상이 그것입니다.
마치 음절 속 모음 앞에 활음 /w/가 있기라도 한 것처럼 <이>가 <위>가 되고, <언>이 <원>이 되는가 하면 <앙>이 <왕>이 되는 것입니다. 모든 자에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지만 첫소리가 자음 v인 한자음 중 75% 가까이가 해당하니 상당한 비율입니다.
첫소리 v의 활음화 현상의 예 1 chiên 전 tiên 선 viên 원
베트남(Việt Nam)의 Việt 자가 한국 한자음로 <얼>이 아닌 <월>이 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입니다.
첫소리 v의 활음화 현상의 예 2 kiệt 걸 tiết 절 việt 월
단어장
- vệ binh [베 빈] 위병(경비를 서는 병사)
- vệ sĩ [베 시] 위사("경호원"의 의미)
- vệ sinh [베 신] 위생 (nhà vệ sinh 화장실)
- vệ tinh [베 띤] 위성(vệ tinh nhân tạo 인공위성)
- bảo vệ [바오 베] 보위("보호"의 의미)
- cận vệ [껀 베] 근위
- phòng vệ [퐁 베] 방위
- tự vệ [뜨 베] 자위
⚠ {애}가 되는 경우
베트남어 | 한자 | 발음 | 한국어 | 예 |
---|---|---|---|---|
tể | 宰 | 떼 | 재 | tể tướng 재상 |
결론
베트남 한자음의 나머지소리 {ê}는 한국 한자음으로 풀이할 때 {에} 또는 {예}가 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, 그 다음에 {어/여}, {이} 순으로 이어집니다. 그밖에 {위}로 풀이되는 경우도 비율 상으로는 낮지만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자가 포함돼있으므로 기억할 필요가 있겠습니다.
- # 나머지소리{ê}
'한자음 대조 > 나머지소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머지소리 {êt}은 {열} (0) | 2024.07.05 |
---|---|
나머지소리 {ênh}은 {영} (0) | 2024.06.21 |
나머지소리 {ây}는 {어} (0) | 2024.05.10 |
나머지소리 {âu}는 {우} (1) | 2024.04.12 |
나머지소리 {ât}은 {일} (0) | 2024.03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