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모와 발음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(중급)

2022. 10. 15.

 

베트남어에는 총 17개의 자음과 10개의 겹자음이 있으며 상세한 발음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I. 베트남어의 첫소리 자음

베트남어의 자음
b c d đ g
h k l m n
ㄹ*
p q r s t
v x      
ㅂ*      

위의 기본 자음 17개 외에도 한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이 결합하여 아래 10개의 겹자음을 이루어 음절의 첫소리 역할을 담당합니다.

베트남어의 겹자음
ch gh gi kh
ng/ngh nh ph qu
(응)ㅇ* ㄴ+ㅣ ㅍ*
th tr    
ㅉ(ㄹ)*    

1. 첫소리 자음의 발음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설명
# 자음 한글 설명
1 b 바보, 박하, 보리, 벼 등의 ㅂ
2 c 까까머리, 꼬리, 꾸중 등의 ㄲ
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c와 구분해 사용함
3 d ㅈ, Z 북부: ㅈ, 영어의 Z
남부: 영어의 Y, 뒤따르는 모음에 반모음 ㅣ를 더함
4 đ 다수, 동남아, 도토리 등의 ㄷ
5 g/gh 가구, 고구마, 고돌이 등의 ㄱ
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gh와 구분해 사용함
6 h 하마, 호랑이, 황혼 등의 ㅎ
7 k 까까머리, 꼬리, 꾸중 등의 ㄲ
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c와 구분해 사용함
8 l ㄹ, L 신라, 선로, 삼만리 등의 ㄹ, 영어의 L
9 m 마무리, 모자, 미녀 등의 ㅁ
10 n 나라, 너구리, 노래 등의 ㄴ
11 p 빨래, 뽀뽀, 뿌리 등의 ㅃ
외래어 표기에 한해 첫소리 자음으로 사용함
12 r ㄹ, R 라디오, 도로, 오리 등의 ㄹ, 영어의 R
북부: ㅈ, 영어의 Z
13 s ㅅ, SH 사막, 사랑, 신세대 등의 ㅅ
남부: 영어의 SH
14 t 따뜻한, 또, 뚜벅이 등의 ㄸ
15 v ㅂ, V VERY, VICTORY 등 영어의 V
16 x 싸리, 쌍용, 쏘시지 등의 ㅆ
17 ch 짜장면, 쭈구미, 찌개 등의 ㅉ
18 gi ㅈ, Z d와 같음
19 kh 코끼리, 키다리, 땅콩 등의 ㅋ
20 ng/ngh (응)ㅇ* 방아, 오징어, 등의 (응)ㅇ
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ngh와 구분해 사용함
21 nh ㄴㅣ ㄴ음에 반모음 <이>를 더한 음
22 ph ㅍ, F 영어의 F
23 qu 꽈리, 꿩 등의 꾸, 꽈 등의 ㄲ
c, k와 같지만 항상 활음 u와 함께 사용함
24 th 태산, 토끼, 털보 등의 ㅌ
25 tr ㅉ* ㅉ음에 약한 R를 더한 음

2. 같은 발음의 자음들

위에서 보듯 베트남어에서 첫소리로 활용되는 자음은 총 27자이지만 동일한 발음을 가진 자들이 있어 실제 음가는 22개 뿐입니다. 

 

⚑ 쌍기역이 무려 세 개!

베트남어에는 우리말의 [ㄲ]음을 내는 자음이 <c, k, q> 총 세 자가 있으며 음가는 동일하지만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합니다.

 

우선 전설 모음이라 불리는 모음 3인방 <i, e, ê> 앞에 위치하면 k를 사용하고, 그외 기타 모음 앞에서는 c를 사용합니다. 겹자음 qu 역시 같은 발음입니다.

모음 i, e, ê 앞   k kỹ thuật, kết quả, kinh tế
기타 모음 앞   c căn cứ, cô lập, cụ thể
활음 u 앞   q quận, quên, quý

전설 모음이란? 레전 혀의 최고점의 위치가 앞에 있는 모음을 말합니다.

🕐 잠깐! chút xíu!

cua와 qua를 살펴보면 위의 설명과 달리 두 자음 모두 모음 u와 결합한 것 같아 혼돈하기가 쉽습니다.

하지만 cua의 u는 일반적인 주음으로써의 모음 u인 반면 qua의 u는 활음의 역할을 가지며 <qu 꾸> 자체로 하나의 겹자음으로 보아야 합니다.

음절 cua 해부도
첫소리   모음   발음
c + ua = cua
우어 꾸어


하여 2개 음절을 분석해보자면 cua는 첫소리 <c ㄲ> + 이중모음 <ua 우어>의 구조로 <꾸어>라 읽으며, qua는 첫소리 <qu 꾸> + 모음 <a 아>의 구조로 <꾸아>라 읽는 것입니다.

음절 qua 해부도
첫소리   모음   발음
qu + a = qua
꾸아

 

⚑ 그냥 기역도 두 개!

자음 g는 우리말의 [ㄱ]에 해당하며 전설 모음 3인방 <i, e, ê> 앞에서는 h를 추가하여 gh라 표기하고 기타 모음 앞에서는 기본형인 g를 사용합니다.

모음 i, e, ê 앞   gh ghi, ghế
기타 모음 앞   g gà, gót, gỡ

 

⚑ 낯선 (응)ㅇ도 두 개! 

베트남어 자음 중 가장 낯선 자음 ng 역시 전설 모음 3인방 앞에서는 h가 추가되어 ngh로 표기하며 기타 모음 앞에서는 기본형 ng를 사용합니다.

자세한 발음 요령은 아래로 스크롤해주시거나 다음 링크를 따라가시기 바랍니다. 

모음 i, e, ê 앞   ngh nghi, nghe
기타 모음 앞   ng ngàn, ngon

 

⚑ 지읒도 두 개!

자음 d와 겹자음 gi는 현지인들도 구분없이 사용하는 동일한 [ㅈ] 발음이지만 일부 교재에서는 둘의 차이에 모음 i의 존재를 강조하며 gi의 경우 약한 <이> 발음이 있다고 가르치기도 합니다. 

 

🧭 남북 발음 차이: 북은 z, 남은 y

또한 이 둘은 북부와 남부의 발음에 차이가 큰 자음 중 하나인데 북부는 영어의 Z에 가까운 [ㅈ] 발음이지만, 남부는 자음은 온데 간데 없이 뒤따르는 모음에 반모음 [이]를 더하여 비유하자면 마치 영어의 Y처럼 발음합니다.

첫소리 d, gi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
북부 d와 gi 남부

da
do


gia
gio

 

3. 비슷한 발음의 자음들

아래는 발음이 같은 듯 같지 않은 자음들입니다. 실제로 현지인이 받아쓰기를 하면 가장 혼돈하는 자음들이기도 합니다. 외국인으로써 이 자음들을 똑같이 발음한다 해도 큰 문제는 없겠으나 차이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. 

 

⚑ 둘 다 쌍지읒 같지만

자음 ch는 우리말의 [ㅉ]로 발음하면 정확하겠으며, 자음 tr은 똑같은 [ㅉ]음을 발음하되 혀끝을 입천장 위로 말아올렸다 풀면서 약한 [ㄹ]음을 추가합니다. 

 

앞서 다른 글에서 영어 단어 <truck>이 "츄럭"으로 읽히기도 한다는 내용과 그게 베트남어라면 "쮸럭"이 된다고 풀어 설명한 바 있습니다.

cha 짜
chu 쭈
tra 짜 (쯔라)
tru 쭈 (쯔루)

자음 ch와 tr의 공식 한글 표기는 [ㅉ]이며 괄호 안 내용은 발음에 대한 설명일 뿐입니다.

 

⚑ 둘 다 시옷 같지만

자음 s는 우리말의 [ㅅ]에 가까우며 자음 x는 우리말의 [ㅆ]음으로 발음하면 구분이 됩니다. 우리말의 [ㅅ]과 베트남어의 s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이를 [ㅆ]로 표기하면 x와 구분할 수가 없습니다.

 

🧭 남북 발음 차이: 실제로 북부에서는 이 둘을 서로 비슷한 된소리로 발음하고 있으며, 남부에서는 s만 영어의 SH에 가깝게 발음합니다.

첫소리 s, x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
북부 s와 x 남부
sa
xa

현행 교과서도 이 두 자음을 혼돈하기 쉬운 글로 분류하고 정확한 발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
 

4. 비슷해 보이는 자음들

아래는 보기에는 비슷하지만 발음차가 뚜렷한 자음들입니다.

 

⚑ d와 đ

베트남어에는 있지만 라틴 알파벳에서는 구경도 못해본 유일한 자음이 đ입니다. 낯선 외형과 달리 발음은 우리에게 익숙한 라틴 알파벳의 D, 우리말로는 [ㄷ] 에 해당합니다. 앞서 설명했듯 기호가 없는 기본형 d는 베트남어에서는 [ㅈ]음입니다.

da 쟈
du 쥬
đa 다
đu 두

⚑ k와 kh

자음 k는 앞서 설명한대로 우리말의 된소리 [ㄲ]음에 해당하고, 여기에 h가 추가된 kh는 우리말의 거센소리 [ㅋ]과 동일합니다.

kia 끼어
kê 께
khia 키어
khê 케

⚑ t와 th

자음 t은 우리말의 된소리 [ㄸ]으로 발음하며, h자가 추가된 자음 th는 우리말의 거센소리 [ㅌ] 발음입니다.

ta 따
tô 또
tha 타
thô 토

⚑ n와 nh

자음 n은 우리말의 [ㄴ]으로 발음하며 자음 nh는 똑같은 [ㄴ]음에 반모음 [이]를 추가한 [ㄴㅣ]로 발음합니다.

nai 나이
nu 누
nhai 냐이
nhu 뉴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 썸네일

 

5. 발음하기 어려운 원톱 자음

자음 ng/ngh는 [(응)ㅇ]으로 표기되어 생소함에 더 어려워 보이지만 우리말에도 분명 있는 발음입니다.

 

발음하는 방법은 <응>에서 "으"를 살짝 지우고 받침 [ㅇ]을 뒤따르는 모음까지 끌고 가는 일종의 연음 현상의 발음과 비슷하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.

연음법칙이란? 앞 음절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.

 

 

예를 들어 <방아>에서 앞자인 "방"의 받침 [ㅇ]과 뒷자인 "아"의 첫소리 [ㅇ]까지가 ng/ngh의 역할입니다.

ng/ngh의 발음
ng/ngh의 발음

일부 학자는 ng/ngh를 두고 입속에 받침 [ㅇ]을 간직한 채 아주 약한 [ㄱ]음을 발음한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. 오래 전 한국에서도 영어의 <singer>를 "싱거"라 표기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제는 "싱어"로 통일된 것과 비슷한 흐름으로 보이기도 합니다.

 

II. 베트남어의 끝소리 자음

베트남어에서 끝소리로 사용되는 자음은 다음과 같이 8자가 있으며 같은 발음이 각각 2개씩 존재하여 우리말의 7종성인 [ㄱ, ㄴ, ㄹ, ㅁ, ㅂ, ㅅ, ㅇ] 과 비교하면 받침 [ㄹ]이 없는 6개의 음으로 이뤄져있습니다.

베트남어의 끝소리 자음
c ch m n
ng nh p t

 

1. 같은 발음의 자음들

⚑ 니은 받침이 두 개!

끝소리 n과 nh은 모두 우리말 받침 [ㄴ] 에 해당하지만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가 있습니다.

 

🧭 남북 발음 차이: 우선 끝소리 n은 북부에서는 정확한 [ㄴ] 발음을 고수하지만 남부에서는 우리말 받침 [ㅇ]에 가깝게  발음합니다.

끝소리 n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
북부 n 받침 남부
an

 

🧭 남북 발음 차이: 끝소리 nh는 북부와 남부 모두에서 정확한 [ㄴ] 발음이지만, 북부에서는 결합하는 모음이 a일 경우 [이] 발음이 미세하게 추가되는 걸 들을 수 있습니다.

끝소리 nh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
북부 nh 받침 남부
아인 anh

 

⚑ 시옷 받침도 두 개!

끝소리 ch와 t는 모두 우리말 받침 [ㅅ]에 해당하지만 일부 모음과 결합할 때 모음의 길이에 차이가 나타납니다. ch 받침을 받는 모음이 t 받침을 받는 모음보다 짧습니다.

cách 깟 cát 까앗

 

🧭 남북 발음 차이: 또한 전체적으로 끝소리 t를 우리말 받침 [ㅅ]로 발음하는 북부와 달리 남부에서는 모음 i를 제외한 모음들과 결합할 때 끝소리 t를 우리말 받침 [ㄱ]에 가깝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 

끝소리 t에 대한 북부와 남부의 발음차이
북부 t 받침 남부
까앗 cát 까악
ít
chút
일반적으로 북부지방 사람들은 첫소리 자음 <d와 gi와 r> 그리고 <s와 x>를 구분하지 못하고, 남부지방 사람들은 끝소리 <ch와 t> 그리고 <n와 ng>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.

 

2. 받침 c와 ng 특징(ft. 원순 모음)

끝소리 자음 c와 ng는 입술을 둥글게 모아 발음하는 원순 모음 3인방 <o, ô, u>과 결합하면 발음 직후에 입을 다무는 양순음화, 이른바 입다뭄 현상이 일어나는 특징이 있습니다. 원순 모음이 아닌 기타 모음과 결합할 때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입니다

 

하여 원순 모음과 결합할 시 끝소리 c는 우리말 받침 [ㄱ]음을 낸 직후 마치 [ㅂ]이 있는 것처럼 입을 다물고, 끝소리 ng는 우리말 받침 [ㅇ]음을 낸 직후 마치 [ㅁ]이 있는 것처럼 입을 다물어야 합니다.

 

 

한가지 팁이 있다면 단순히 입을 다물고 끝내는 게 아니라 입을 다물자마자 입 안에 바람을 넣듯이 양볼을 살짝 부풀려 준다면 더 현지인과 유사한 발음을 낼 수 있습니다.

끝소리 c, ng의 입다뭄 현상
기타 모음과 결합 시 모음 o, ô, u와 결합 시
ác óc 옥(ㅂ)
ức úc 욱(ㅂ)
ang ong 옹(ㅁ)
ưng ung 웅(ㅁ)

원순 모음이란? 입술모양을 둥글게 오므려 내는 모음을 말합니다.

양순음화란? 입술에서 나는 소리, 즉 양순음(ㅂ, ㅃ, ㅍ, ㅁ)이 아닌 음이 양순음이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.

 

3. 모음 결합의 제한

끝소리 ch와 nh는 모음 <a, ê, i>의 3자와만 결합하고 원순 모음 3인방 <o, ô, u>과는 절대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습니다.

cách 깟 O cánh 깐
lệch 렛 O lệnh 렌
tịch 띳 O tịnh 띤
dóch 불가 X donh 불가
cốch 불가 X cônh 불가
cụch 불가 X cunh 불가

 

4. 성조 결합의 제한

베트남어의 파열음 끝소리인 <c, ch, p, t>는 반드시 성조 중 올림조 á(삭, sắc) 또는 낙하조 (낭, nặng)와만 결합할 수 있습니다. 그외 다른 성조인 à(내림조), (내리올림조), ã(꺾임조)는 물론이고, 무성조인 a(수평조)도 결합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chúc 쭉(ㅂ) O chục 쭉(ㅂ)
chùc 불가 X chủc 불가
bách 밧 O bạch 밧
bach 불가 X bãch 불가
quýt 꾸잇 O quỵt 꾸잇
quỷt 불가 X quỹt 불가

파열음이란?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폐쇄하며 터져 나오는 소리를 말하며 폐쇄음이라고도 합니다. 베트남어의 파열음 끝소리로는 <c, ch, p, t>가 있습니다.

 

성조에 관한 설명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함께 보기
 

베트남어 모음의 발음(중급)

베트남어에는 총 11개의 단모음과 3개의 기본 이중모음이 있으며, 이들 14자만이 음절의 핵인 주음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. 목차 I. 베트남어의 단모음 베트남어의 단모음 a ă â 아 짧은 아 짧은

kokovi.com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