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죽 똑 벗 닷, 급할수록 돌아가라

2022. 11. 20.

 

죽 똑 벗 닷 소개

한국보다 베트남에서 더 흔히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<욕속부달 dục tốc bất đạt 欲速不達>이 있습니다. 네 자 모두첫소리부터 끝소리까지 빈틈 없이 채워져서 발음이 어렵습니다.

 

"일을 빨리 하려고 서두르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논어에 등장하는 공자의 말이라고 하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muốn làm nhanh chóng thì sẽ không đạt được" 입니다. 

 

사자성어
dục tốc bất đạt
하고자 할 欲 빠를 速 아니 不 통할 達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dục tốc bất đạt 욕속부달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dục 욕 欲

첫 번째 자인 dục은 첫소리 d에 나머지소리 {u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d + uc = dục
욱, 옥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dục은 한국어로 [죽] (남부: 육)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욕>과 첫소리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 발음이 유사합니다. 

 

🔔 입다뭄 현상 (양순음화)

끝소리 c가 원순모음 <o, ô, u>와 결합하는 경우 발음 직후 입을 다물어줘야 합니다. 따라서 위 한자음의 한국어 표기는 [죽]이지만 발음 직후에 입을 재빨리 다물어서 실제 발음은 [죽(ㅂ)]이 됩니다.

 

자세한 발음 설명은 아래 페이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베트남어 모음의 발음(중급)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(중급)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dục의 첫소리 d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ㅇ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uc}은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{욱}이 되고 그 다음에 {옥}{육} 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만 일반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으며 불교 서적에서 쓰는 단어들이 대부분입니다.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dục cầu 죽 꺼우 欲求 욕구
dục vọng 죽 봉 欲望 욕망
thực dục 특 죽 食慾 식욕

 

 

 

2. tốc 속 速

두 번째 자 tốc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ô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ôc = tốc
ㅅ, ㅈ, ㅊ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ốc는 한국어로 [똑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속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. 

 

🔔 입다뭄 현상 (양순음화)

끝소리 c가 원순모음 <o, ô, u>와 결합하는 경우이므로 위 한자음의 한국어 표기는 [똑]이지만 발음 직후에 입을 재빨리 다물어서 실제 발음은 [똑(ㅂ)]이 됩니다.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ốc의 첫소리 t는 약 절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ôc}은 압도적인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옥}이 됩니다. 

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ốc độ 똑 도 速度 속도
biến tốc 비엔 똑 變速 변속
cao tốc 까오 똑 高速 고속
cấp tốc 껍 똑 急速 급속

 

 

 

3. bất 부 不

세 번째 자 bất은 첫소리 b에 나머지소리 {ât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b + ât = bất
ㅂ, ㅍ 일, 울, 을 불/부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bất은 한국어로 [벗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부>과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다릅니다. 다만 한국어는 두음 법칙으로 인해 <불>을 <부>로 읽는 경우입니다.

 

 두음 법칙이란? 특정 음운이 어두의 위치에서 탈락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말하며, 아니 不 자의 경우 뒤에 오는 글자의 첫소리가 ㄷ이나 ㅈ이면 <불>이 아닌 <부>라 읽습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bất의 첫소리 b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ㅂ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ât} 역시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일}이 되고 그 다음에 {울}{을} 순으로 이어집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bất an 벗 안 不安 불안
bất đắc dĩ 벗 닥 지 不得已 부득이
bất động sản 벗 동 산 不動産 부동산
bất lợi 벗 러이 不利 불리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무소불위, 불로장생, ...

 

 

 

4. đạt 달 達

네 번째 자 đạt은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{at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đ + at = đạt
ㄷ, ㅈ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đạt은 한국어로 [닷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달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. 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đạt의 첫소리 đ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ㄷ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t}은 압도적인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알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Đạt Ma 닷 마 達磨 달마
phát đạt 팟 닷 發達 발달
truyền đạt 쮜엔 닷 傳達 전달

 

 

 

활용도 ★★

해당 사자성어는 한국보다 베트남 신문에서 더 많이 인용되는 듯합니다. 

 

예시

&quot;죽 똑 벗 닷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
백신 쟁탈전: 빠른게 능사는 아니다 (출처: Tuoi Tre)

 

&quot;죽 똑 벗 닷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 2
다이어트는 "욕속부달" (출처: Dan Tri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