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보 띠엔 코앙 허우,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다

2023. 4. 3.

 

보 띠엔 코앙 허우 소개

한국에서 전무후무를 쓴다면 베트남에서는 <무전광후 vô tiền khoáng hậu 無前曠後>를 씁니다. 

 

사실 이 사자성어는 중국에서 쓰는 공전광후(空前曠後)의 공 자와 없을 무 자를 동일시한 실수에서 출발한 과잉정정의 결과라고 하며 결과적으로 베트남에만 있는 사자성어라고 합니다. [관련링크: Thanh Nien]

 

"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chưa từng có trong quá khứ và cũng sẽ không có trong tương lai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iền khoáng hậu
띠엔 코앙 허우
없을 無 앞 前 밝을 曠 뒤 後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vô tiền khoáng hậu 무전광후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vô 무 無

첫 번째 자인 vô는 첫소리 v에 나머지소리 {ô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v + ô =
ㅇ, ㅁ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vô는 한국어로 [보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무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유명무실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흐우 잔 보 텃, 이런 개살구

흐우 잔 보 텃 소개 베트남에서도 거의 한국에서만큼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. "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삼국지에서 유래했다고 하며, 껍데기는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천하무쌍, 평안무사, 인생무상, ...

 

 

 

2. tiền 전 前

두 번째 자 tiề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iê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iên = tiền
이엔 띠엔
ㅅ, ㅈ, ㅊ 언, 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iền은 한국어로 [띠엔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전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풀어쓴듯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전정만리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띠엔 찐 반 리, 앞길이 구만리

띠엔 찐 반 리 소개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한국에도 베트남에도 있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이 있습니다. "앞길이 만리"라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나이가 젊어 장래가 유맹하다는 의미를 가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전가통신, 선발제인, 진퇴양난, ...

 

 

 

3. khoáng 광 曠

세 번째 자 khoáng은 첫소리 kh에 나머지소리 {oang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kh + oang = khoáng
오앙 코앙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khoáng은 한국어로 [코앙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광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거의 같습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khoáng의 첫소리 kh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ㄱ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oang}은 역시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왕}이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khoáng đãng 코앙 당 曠簜 광탕 
"광활"의 의미
phóng khoáng 퐁 코앙 放曠 방광 
"호탕, 호방"의 의미

 

 

 

4. hậu 후 後

네 번째 자 hậu는 첫소리 h에 나머지소리 {âu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h + âu = hậu
어우 허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hậu는 한국어로 [허우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후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삼사후행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땀 뜨 허우 한, 세번 생각하고 실행하라

땀 뜨 허우 한 소개 한국에서는 삼사일언(三思一言) 또는 삼사일행(三思一行)이라고 쓰지만 베트남에서는 비슷한 버전으로 이라는 사자성어를 씁니다. "세번 생각하고 행하라"는 뜻을 가진 이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선우후락, 맹모삼천, ...

 

 

 

활용도 ★★★★

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현지 신문에 종종 인용되지만 일상에서 흔히 쓰이지는 않습니다.

 

예시

 

&quot;보 띠엔 쾅 허우&quot;한 기록을 쏟아내고 있는 BTS

BTS: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고 있는 글로벌 현상
(출처: Tien Phong)

 


 

&quot;보 띠엔 코앙 허우&quot;를 인용한 기사 제목

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스페인 대표팀
(출처: Bao Quang Binh) 

 


 

&quot;보 띠엔 코앙 허우&quot;를 인용한 그래픽

전무후무한 공황상태
(출처: Bao Tin Tuc)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