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뀌엔 토 쭝 라이, 흙먼지 휘날리며 돌아오다

2023. 1. 6.

 

뀌엔 토 쭝 라이 소개

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존재하는 사자성어 중에는 무협지 느낌이 충만한 <권토중래 quyển thổ trùng lai 捲土重來>가 있습니다. 

 

"흙먼지를 일으키며 돌아온다"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어떤 일에 실패한 뒤 힘을 길러서 다시 도전하여 결국 성공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인다고 하며, 당나라 시인 두목(Đỗ Mục, 803~853)의 시 <제오강정(Đề Ô Giang đình)>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.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cuộn đất mà trở lại; thu xếp tất cả mọi thứ mà làm lại lần nữa để được thành công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quyển thổ trùng lai
뀌엔 라이
말/거둘 捲 흙 土 거듭 重 올 來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quyển thổ trùng lai 권토중래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quyển 권 捲

첫 번째 자인 quyển은 첫소리 q에 나머지소리 {uyê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q + uyên = quyển
위엔 뀌엔
연, 언, 원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quyển은 한국어로 [뀌엔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권>과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 역시 비슷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quyển의 첫소리 자음 q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ㄱ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uyên}은 각기 비슷한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연}, {언}이 되고 그 다음에 {원} 순으로 이어집니다.

 

 활음+나머지소리

나머지소리 {uyên}은 활음 u와 이미 살펴본 나머지소리 {iên}이 결합한 것으로, 활음의 추가 여부와 무관하게 한국 한자음으로는 여전히 {연}{언}이 되는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. 하지만 활음 u와 결합하며 한국 한자음에도 활음 <우>가 추가된 {원}이 되는 비율 역시 적지는 않습니다.

 

활음+나머지소리
활음   나머지소리1   나머지소리2
u + iên = uyên
/ 우 / 연, 언 연, 언, 원

 

단독 사용 OK!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흔히 쓰는 단어는 거의 없지만, 단독 형태로는 책 따위를 세는 단위 중 하나(권)로 사용되기도 합니다.

 

Bộ sách giáo khoa lớp 3 gồm những quyển nào?

보 삿 자오 코아 럽 바 곰 능 뀌엔 나오

3학년 교과서엔 어떤 책들이 있습니까?

 

 

 

2. thổ 토 土

두 번째 자 thổ는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ô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ô = thổ
ㅅ, ㅊ, ㅌ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ổ는 한국어로 [토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토>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같습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hổ의 첫소리 자음 th는 반에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ㅊ][ㅌ] 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ô}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오}가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hổ nhưỡng 토 느엉 土壤 토양
thổ tinh 토 띤 土星 토성
lĩnh thổ
(lãnh thổ)
린 토 領土 영토
thổ địa 토 디어 土地 토지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초토항전, ...

 

 

 

3. trùng 중 重

세 번째 자 trùng는 첫소리 tr에 나머지소리 {ung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r + ung = trùng
ㅈ, ㅊ 옹, 웅, 용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rùng은 한국어로 [쭝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중>과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거의 같습니다.

 

🔔 입다뭄 현상 (양순음화)

끝소리 ng가 원순모음 <o, ô, u>와 결합하는 경우 발음 직후 입을 다물어줘야 합니다. 따라서 위 한자어의 한국어 표기는 [쭝]이지만 발음 직후에 입을 재빨리 다물어서 실제 발음은 [쭝(ㅁ)]이 됩니다.

 

자세한 발음 설명은 아래 페이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베트남어 모음의 발음(중급)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(중급)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rùng의 첫소리 자음 tr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ㅈ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ung}은 역시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옹}이 되고 그 다음에 {웅} 순으로 이어집니다.

 

 잠깐! 한자 重 자는 한국 한자음으로 1개 이상의 뜻과 음이 있으며 베트남음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. 여기서는 /거듭할 중/ 에 해당하는 trùng 음만 다룹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흔히 쓰는 단어는 없다시피 합니다. 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rùng điệp 쭝 디엡 重疊 중첩

 

단독 사용 OK! 또한 이 자는 단독 형태로도 쓰이며 "겹치다" 또는 "들어맞다"는 뜻으로 쓸수 있습니다.

 

Tên tôi trùng với tên bạn!

뗀 또이 쭝 버이 뗀 반

내 이름이랑 당신 이름이 같아요!

 

Giáng sinh năm nay trùng với ngày chủ nhật

장 신 남 나이 라이 쭝 버이 응아이 쭈 녓

올해 크리스마스는 일요일과 겹쳐요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무중생유, 백발백중, ...

 

 

 

 

4. lai 래 來

네 번째 자 lai는 첫소리 l과 나머지소리 {ai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l + ai = lai
아이 라이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lai는 한국어로 [라이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래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거의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 역시 한국 한자음을 풀어쓴 듯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고진감래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코 떤 깜 라이, 끝내 이루리라

코 떤 깜 라이 소개 한국에서처럼 많이 알려지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쓰이는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. "쓴 것 끝에는 단 것이 온다"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우리말 속담으로 "고생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고진감래, ...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에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. 

 

흙먼지 휘날리리는 Roadrunner 움짤
흙먼지 휘날리며 (출처: Tenor.com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