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떤 쩐 다이 따, 묵은 것이 새것으로 대체되다

2023. 1. 27.

 

떤 쩐 다이 따 소개

보통 이말을 들으면 먹고싸니즘부터 생각하게 되지만 그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가 <신진대사 tân trần đại tạ 新陳代謝>입니다. 

 

우리에게 익숙한 쓰임새로 인체에서 에너지를 소모하는 화학적 작용을 말하기도 하지만 "묵은 것이 사라지고 새것으로 대체된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의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cái mới đến thay thế cái cũ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ân trần đại tạ
다이
새 新 묵을 陳 대신 代 사례할 謝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ân trần đại tạ 신진대사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ân 신 新

첫 번째 자인 tâ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â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ân = tân
ㅅ, ㅈ, ㅊ 인, 은, 운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ân은 한국어로 [떤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신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조금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온고지신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온 꼬 찌 떤, 옛것을 돌아보고 새것을 안다

온 꼬 찌 떤 소개 베트남에서도 쓰기는 하지만 한국에서 좀 더 많이 쓰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. "옛 것을 익히고 그것으로 새 것을 안다"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공자의 논어에서 유래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고진감래, 송구영신...

 

 

 

2. trần 진 陳

두 번째 자 trần은 첫소리 tr에 나머지소리 {â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r + ân = trần
ㅈ, ㅊ 인, 은, 운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rần은 한국어로 [쩐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진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조금 비슷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rần의 첫소리 tr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ㅈ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ân}은 앞서 살폈듯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인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rần tình 쩐 띤 陳情 진정

 

 

 

3. đại 대 代

세 번째 자 đại는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{ai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đ + ai = đại
아이 다이
ㄷ, ㅈ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đại는 한국어로 [다이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대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풀어쓴듯 유사합니다.

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만대유전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르우 쮜엔 반 다이, 길이길이 전해지다

르우 쮜엔 반 다이 소개 "만대를 이어 길이길이 전해 내려온다"는 뜻을 가진 만대유전은 베트남에서는 남길 유(遺)가 흐를 류(流)로 바뀌고, 거기에 앞뒤 위치도 바뀌어 류전만대라고 하며 베트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광명정대, 대동소이, ...

 

 

 

4. tạ 사 謝

네 번째 자 tạ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a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a = tạ
ㅅ, ㅈ, ㅊ 아/야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ạ는 한국어로 [따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사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ạ의 첫소리 t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}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아} 또는 {야}가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ạ ân
(tạ ơn)
따 언 謝恩 사은
tạ tội 따 또이 謝罪 사죄
cảm tạ 깜 따 感謝 감사
hậu tạ 허우 따 厚謝 후사
"두터이 사례하다"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좌충우돌, ...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신문에도 인용되지 않으며, 성어 사전에서나 볼수 있을 뿐 일반 언중에게는 굉장히 생소하다고 하겠습니다. 

 

예시

 

&quot;떤 쩐 다이 따&quot;을 인용한 글 캡처
인체의 면역기능에 대한 글 (출처: Chanh Kien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