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떳 뚝 띠엔 닥,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는다(ft. 얼리버드)

2023. 1. 29.

 

떳 뚝 띠엔 닥 소개

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좀처럼 마주칠 일이 없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<질족선득 tật túc tiên đắc 疾足先得>이 있습니다. 첩족선득, 첩족선등, 질족선등 이라고도 합니다.

 

"발 빠른 자가 먼저 얻는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행동이 민첩한 사람이 먼저 목적을 달성한다는 의미로 "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는다"는 영어 속담과 거의 동일합니다.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mau chân được trước; người lanh lẹ sẽ làm được việc trước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ật túc tiên đắc
띠엔
병 疾 발 足 먼저 先 얻을 得

 

첫번째 자만 다른 첩족선득:

사자성어
tiệp túc tiên đắc
띠엡 띠엔
빠를 捷 발 足 먼저 先 얻을 得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ật túc tiên đắc 질족선득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ật 질 疾

첫 번째 자인 tật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ât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ât = tật
ㅅ, ㅈ, ㅊ 일, 울, 을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ật은 한국어로 [떳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질>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ật의 첫소리 t는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ㅈ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ât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일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ật bệnh 疾病 질병
tật tẩu 떳 떠우 疾走 질주

 

 

 

2. túc 족 足

두 번째 자 túc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u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uc = túc
ㅅ, ㅈ, ㅊ 욱, 옥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úc은 한국어로 [뚝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족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🔔 입다뭄 현상 (양순음화)

끝소리 c가 원순모음 <o, ô, u>와 결합하는 경우 발음 직후 입을 다물어줘야 합니다. 따라서 위 한자어의 한국어 표기는 [뚝]이지만 발음 직후에 입을 재빨리 다물어서 실제 발음은 [뚝(ㅂ)]이 됩니다.

 

자세한 발음 설명은 아래 페이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베트남어 모음의 발음(중급)

베트남어 자음의 발음(중급)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úc의 첫소리 t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ㅈ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uc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욱}이 되고 그 다음에 {옥} 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sung túc 숭 뚝 充足 충족
stự túc 뜨 뚝 自足 자족
thủ túc
(chân tay)
투 뚝 手足 수족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미풍양속, 자급자족, ...

 

 

 

3. tiên 선 先

세 번째 자 tiên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iê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iên = tiên
이엔 띠엔
ㅅ, ㅈ, ㅊ 언, 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iên은 한국어로 [띠엔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선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iên의 첫소리 t은 절반 가까이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iên}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언} 또는 {언}이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iên sinh 띠엔 신 先生 선생
tiên tiến 띠엔 띠엔 先進 선진
(nhà) tiên tri 띠엔 찌 先知 선지(자)
ưu tiên 으우 띠엔 于先 우선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전가통신, 일거양편, ...

 

 

 

4. đắc 득 得

네 번째 자 đắc은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{ă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đ + ăc = đắc
ㄷ, ㅈ 윽, 익, 액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đắc은 한국어로 [닥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득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일거양편> 페이지의 5번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녓 끄 르엉 띠엔, 일타쌍피

녓 끄 르엉 띠엔 소개 한국에 일거양득(一擧兩得)이 있다면 베트남에는 이 있습니다. "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"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비슷한 말로 "일석이조"가 있으며, 베트남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춘풍득의, 일거양득, ...

 

 

 

 

5. tiệp 첩 捷

다섯 번째 자 tiệp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iêp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iêp = tiệp
이엡 띠엡
ㅅ, ㅈ, ㅊ 업, 엽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iên은 한국어로 [띠엡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첩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iên의 첫소리 t은 절반 가까이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ㅈ][ㅊ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iêp}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업} 또는 {엽}이 됩니다.

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보편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없습니다.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성어 사전에서나 볼 수 있을뿐 일상에서 접할 일이 없습니다.

 

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는다
발빠른 새가 벌레를 (출처: Blog An Choi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