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띠엠 녑 자이 깐, 갈수록 흥미진진

2023. 1. 31.

 

띠엠 녑 자이 깐 소개

어떤 일이 갈수록 흥미진진하다고 할 때 쓰는 사자성어로 <점입가경 tiệm nhập giai cảnh 漸入佳境>이 있습니다.

 

"갈수록 더 좋거나 재미가 있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옛날옛적 고개지라는 중국의 화가가 사탕수수를 싱거운 가지 쪽에서부터 단맛이 강한 뿌리 쪽으로 씹고 들어갔다는 일화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하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dần vào cõi đẹp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iệm nhập giai cảnh
띠엠 자이
점차 漸 들 入 아름다울 佳 지경 境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iệm nhập giai cảnh 점입가경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iệm 점 漸

첫 번째 자인 tiệm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iêm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iêm = tiệm
이엠 띠엠
ㅅ, ㅈ, ㅊ 엄, 염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iệm은 한국어로 [띠엠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점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iệm의 첫소리 t는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 [ㅈ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iêm}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엄} 또는 {염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보편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없습니다.

 

 

 

2. nhập 입 入

두 번째 자 nhập은 첫소리 nh에 나머지소리 {âp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nh + âp = nhập
ㄴ(ㅣ)
읍, 입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nhập은 한국어로 [녑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입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과문불입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꽈 몬 벗 녑, 방앗간도 지나치다

꽈 몬 벗 녑 소개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치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지만 바쁘면 참새도 어쩔수 없습니다. 흔히 볼수는 없지만 한국과 베트남에 모두 있는 사자성어 중 이 있습니다. "집 앞을 지나면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주입언출, 출생입사, ...

 

 

 

3. giai 가 佳

세 번째 자 giai는 첫소리 gi에 나머지소리 {ai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gi + ai = giai
아이 자이
ㄱ, ㅎ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giai는 한국어로 [자이] (남부: 야이)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가>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giai의 첫소리 gi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ㄱ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i}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애}가 되고 그 다음에 {아} 순으로 이어집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giai nhân 자이 년 佳人 가인
"아름다운 사람"
giai thoại 자이 톼이 佳話 가화
"아름다운 이야기"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백년해로...

 

 

 

4. cảnh 경 境

네 번째 자 cảnh은 첫소리 c에 나머지소리 {anh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c + anh = cảnh
엉/영, 앵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cảnh은 한국어로 [깐] (북부: 까인)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경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cảnh의 첫소리 c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ㄱ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nh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엉} 또는 {영}이 되고 그 다음에 {앵} 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cảnh địa 깐 디어 境地 경지
cảnh ngộ 깐 응오 境遇 경우
"상황, 형편"
gia cảnh 자 깐 家境 가경
"가정형편"의 의미
hoàn cảnh 호안 깐 環境 환경
nghịch cảnh 응잇 깐 逆境 역경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한국에서는 반어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친근한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지만 베트남에서는 거의 볼 일이 없습니다. 

 

상황에 맞는 사자성어는? (출처: 경향신문)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