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뜨 지엔 서 까, 사방이 초나라

2023. 3. 21.

 

뜨 지엔 서 까 소개

비교적 널리 알려진 한국과 달리 베트남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는 사자성어 중에는 또한 <사면초가 tứ diện sở ca 四面楚歌>가 있습니다. 

 

"사방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"라는 겉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 "사방이 포위되어 누구에게도 도움받을 수 없는 고립된 상태"를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. 흔히 진퇴양난의 다음 단계라고 말하기도 하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tình cảnh bị áp bức cả tứ phía; Sở ca bốn phương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ứ diện sở ca
지엔
넉 四 낯 面 모형/초나라 楚 노래 歌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ứ diện sở ca 사면초가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ứ 사 四

첫 번째 자인 tứ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ư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ư = tứ
ㅅ, ㅈ, ㅊ 어, 아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ứ는 한국어로 [뜨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사>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재삼재사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따이 땀 따이 뜨, 세번이고 네번이고

따이 땀 따이 뜨 소개 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쉬운 자들로 구성돼서 누구나 이해가능한 사자성어 중에는 가 있습니다. "세번이고 네번이고 되풀이하다"는 뜻을 가진 이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토사구팽, 자력갱생, 군자일언, ...

 

 

 

2. diện 면 面

두 번째 자 diện는 첫소리 d에 나머지소리 {iên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d + iên = diện
이엔 지엔
ㅇ, ㅁ 언, 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diện는 한국어로 [지엔] (남부: y이엔) 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면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diện의 첫소리 d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ㅇ]이 되며 그 보다 훨씬 낮은 비율로 [ㅁ]이 됩니다. 나머지소리 {iên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언}이 되고 그 다음에 {연} 순으로 이어집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diện mạo 지엔 마오 面貌 면모
"모양, 인상착의"의 의미
diện tích 지엔 띳 面積 면적
chính diện 찐 지엔 正面 정면
phương diện 프엉 지엔 方面 방면
toàn diện 또안 지엔 全面 전면

 

 

 

3. sở 초 楚

세 번째 자 sở는 첫소리 s에 나머지소리 {ơ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s + ơ = sở
ㅅ, ㅊ 오, 어, 이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sở는 한국어로 [서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초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sở의 첫소리 s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 그 다음에 [ㅊ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ơ}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오}가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khổ sở 코 서 苦楚 고초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무소불위, ...

 

 

 

4. ca 가 歌

네 번째 자 ca은 첫소리 c에 나머지소리 {a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c + a = ca
아/야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ca은 한국어로 [까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가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같습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ca의 첫소리 c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ㄱ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} 역시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아} 또는 {야}가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ca dao 까 자오 歌謠 가요
"속담"의 의미
ca nhạc 까 냑 歌樂 가악
"음악"의 의미
a sĩ 까 시 歌士 가사
"가수"의 의미
ca từ 까 뜨 歌詞 가사
dân ca 전 까 民歌 민가
"민요"의 의미

 

 

 

활용도

해당 사자성어는 무협소설에서나 볼 수 있을 뿐, 베트남에서는 신문은 물론이고 일상에서도 전혀 쓰이지 않습니다.

 

&quot;뜨 지엔 서 까&quot;를 인용한 영상 타이틀
국사무쌍 한신의 사면초가 (출처: 유튜브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