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텃 디엔 밧 다오, 일곱번 넘어지고 여덟번 구르다

2023. 3. 23.

 

텃 디엔 밧 다오 소개

우리가 흔히 쓰는 사자성어 중 칠전팔기는 베트남어 성어사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대신 딱 한 자 차이로 매우 유사해 보이는 <칠전팔도 thất điên bát đảo 七顚八倒>가 있습니다.

 

다만 그 다른 한 자가 결말을 바꾸어서 우리가 아는 칠전팔기가 "일곱번 넘어지고 여덟번 일어난다"로 매우 희망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면 칠전팔도는 "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넘어진다"는 뜻으로 수많은 실패를 거듭하고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며(아직 못 일어난 열린 결말)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bảy ngã tám nhào" 입니다.

 

또 한가지 유의할 점은 베트남어에서는 이 사자성어가 실제 구르고 엎어지는 행동과 모양을 가리킴으로써 혼비백산에 가까운 의미로도 활용된다는 점입니다.

 

 

사자성어
thất điên bát đảo
디엔 다오
일곱 七 넘어질 顚 여덟 八 넘어질 倒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hất điên bát đảo 칠전팔도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hất 칠 七

첫 번째 자인 thất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ât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ât = thất
ㅅ, ㅊ, ㅌ 일, 울, 을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ất은 한국어로 [텃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칠>과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hất의 첫소리 th는 절반에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 그 다음에 [ㅊ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ât}은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일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hất tịch 텃 띳 七夕 칠석
"음력 7월 7일"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소탐대실, 새옹지마, 유명무실, ...

 

 

 

2. điên 전 顚

두 번째 자 điên은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{iê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đ + iên = điên
이엔 디엔
ㄷ, ㅈ 언, 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điên은 한국어로 [디엔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전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điên의 첫소리 đ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ㄷ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iên} 역시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언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과전이하, 상전벽해, ...

 

 

단독 사용 OK! 한편 이 자는 미칠 전(癲) 자의 뜻도 포함하고 있어서  "미쳤다"는 의미로 쓸수 있습니다.

 

Mày điên hả?

마이 디엔 하

미쳤어?

 

 

 

3. bát 팔 八

세 번째 자 bát는 첫소리 b에 나머지소리 {at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b + at = bát
ㅂ, ㅍ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bát은 한국어로 [밧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팔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다릅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bát의 첫소리 b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ㅂ]이 되고 그 다음에 [ㅍ] 순으로 이어지며, 나머지소리 {at}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알}이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bát phương 밧 프엉 八方 팔방
Trư Bát Giới 쯔 밧 저이 豬八戒 저팔계
서유기 등장인물

 

 

 

4. đảo 도 倒

네 번째 자 đảo는 첫소리 đ에 나머지소리 {ao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đ + ao = đảo
아오 다오
ㄷ, ㅈ 오, 요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đảo는 한국어로 [다오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도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풀어쓴듯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đảo의 첫소리 đ는 과반의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ㄷ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ao}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오} 또는 {요}가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áp đảo 압 다오 壓倒 압도
đả đảo 다 다오 打倒 타도

 

 

 

활용도 ★★

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현지 신문에 종종 인용되지만 앞서 언급했듯 실제로 무질서하게 요동치거나 흔들거리는 모양 또는 다사다망, 정신없음(또는 정신나감), 이성상실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주로 사용됩니다.

 

예시

 

&quot;텃 디엔 밧 다오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 1

월드컵 결승전을 앞두고 메시 유니폼 품절 사태로 눈코 뜰새 없었던 아디다스
(출처: CAND)

 

 


 

&quot;텃 디엔 밧 다오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 2

사정 없이 하늘로 튀고 물에 풍덩, 혼이 쏙 빠진 수상레저 관광객들
(출처: VTC)

 


 

&quot;텃 디엔 밧 다오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 3

응우옌 쭝 쯕의 혁혁한 전과에 프랑스군은 길길이 날뛰며 그와 의병대를 소탕하고자 했다 
 (출처: Phu Nu Online)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