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뜨 뜨엉 머우 투언, 내안의 창과 방패

2023. 3. 22.

 

뜨 뜨엉 머우 투언 소개

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도 뒷 2자만 널리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 <자상모순 tự tương mâu thuẫn 自相矛盾>이 있습니다. 

 

"창과 방패처럼 스스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"는 뜻을 가진 이 고사성어는 초나라 시대에 모든 방패를 뚫는 창과 모든 창을 막아내는 방패를 동시에 팔던 한 상인의 유명한 일화에서 유래했으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nói mình tự chống trái với mình nhu khiên giáo trái nhau" 입니다.

 

사자성어
tự tương mâu thuẫn
뜨엉 머우 투언
스스로 自 서로 相 창 矛 방패 盾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ự tương mâu thuẫn 자상모순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ự 자 自

첫 번째 자인 tự는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ư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ư = tự
ㅅ, ㅈ, ㅊ 어, 아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ự는 한국어로 [뜨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자>와는 첫소리와 나머지소리의 발음이 모두 다릅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자력갱생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뜨 륵 깐 신, 제 힘으로 새로운 삶을 일구다

뜨 륵 깐 신 소개 한국보다 베트남에서 더 많이 쓰이는 것 같은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. "제 스스로의 힘으로 힘든 처지를 극복하고 새 삶을 산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노자의 도덕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삼사후행, 생로병사, 사중구생, ...

 

 

 

2. tương 상 相

두 번째 자 tương은 첫소리 t에 나머지소리 {ương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 + ương = tương
으엉 뜨엉
ㅅ, ㅈ, ㅊ 앙, 양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ương은 한국어로 [뜨엉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상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한 편입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골육상잔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꼿 뉵 뜨엉 딴의 비극

꼿 뉵 뜨엉 딴 소개 자음 c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중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서 나름 알려진 사자성어로는 이 있습니다. 베트남 발음이 쌍기역, 쌍디귿 등 된소리 범벅이어서 듣기만 해도 세게 들립

kokovi.com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상부상조, 골육상잔, ...

 

 

 

3. mâu 모 矛

세 번째 자 mâu는 첫소리 m에 나머지소리 {âu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m + âu = mâu
어우 머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mâu는 한국어로 [머우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모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같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

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mâu의 첫소리 m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ㅁ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âu} 역시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우}가 되고 그 다음에 훨씬 낮은 비율로 {오}가 됩니다.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보편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없습니다.

 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맹모삼천, ...

 

4. thuẫn 순 盾

네 번째 자 thuẫn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uân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uân = thuẫn
우언 투언
ㅅ, ㅊ, ㅌ 운, 윤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uẫn은 한국어로 [투언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순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풀어쓴듯 유사합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huẫn의 첫소리 th는 절반 가까운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며, 나머지소리 {uân}은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운}이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단어 중 보편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없습니다.

 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미풍양속, ...

 

 

 

활용도 ★☆

해당 사자성어는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4자 모두를 인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, 뒷 2자인 mâu thuẫn 모순만 별도의 어휘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

 

한편 베트남어에서 mâu thuẫn은 우리가 아는 "모순" 외에 "갈등, 충돌"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모와 순을 설명하는 그래픽
모와 순 (출처: Tamkyrt)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