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자음 대조/사자성어

타 프엉 꺼우 특, 서러운 타향살이

2023. 7. 15.

 

타 프엉 꺼우 특 소개

한국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베트남에서는 잘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 <타방구식 tha phương cầu thực 他方求食>이 있습니다. 

 

"타지에서 먹을 것을 구한다"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고향이 아닌 곳에서 생계를 영위함을 이르는 말이며, 베트남어로 된 풀이는 "xa quê hương mà kiếm ăn" 입니다. 

 

사자성어
tha phương cầu thực
프엉 꺼우
다를 他 모 方 구할 求 밥 食

 

 

4자 해부

사자성어 <tha phương cầu thực 타방구식> 속 각 자의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tha 타 他

첫 번째 자인 tha는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a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a = tha
ㅅ, ㅊ, ㅌ 아/야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a는 한국어로 [타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타>와 발음이 똑같습니다. 

 

한자음 풀이

베트남 한자음 tha의 첫소리 th는 절반에 못 미치는 비율로 한국 한자음의 [ㅅ]이 되고, 그 다음에 [ㅊ][ㅌ] 순으로 이어집니다. 나머지소리 {a}는 압도적 비율로 한국 한자음 속 {아} 또는 {야}가 됩니다. 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해당 한자가 포함된 대표적인 단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 

단어장
베트남어 발음 한자 한국어
tha hương 타 흐엉 他鄕
tha nhân 타 년 他人
vị tha 비 타 爲他 위타
"타인을 위하다"

 

 

 

2. phương 방 方

두 번째 자 phương은 첫소리 ph에 나머지소리 {ương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ph + ương = phương
으엉 프엉
ㅂ, ㅍ 앙/양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phương은 한국어로 [프엉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방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약간 유사한 편입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작성된 한자음 <모 phương> 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모 phương

베트남 한자음 phương 소개 알파벳 ph로 시작하는 한자 중에서도 널리 쓰이고 흔히 볼수 있는 자로 모(본뜰) 方자의 베트남 음인 phương을 들 수 있습니다. 한자음 phương 方 방 베트남 한자음 한자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백방천계, ...

 

 

 

3. cầu 구 求

세 번째 자 cầu는 첫소리 c에 나머지소리 {âu}가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c + âu = cầu
어우 꺼우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cầu는 한국어로 [꺼우]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구>와는 첫소리의 발음이 유사하고 나머지소리의 발음도 풀어쓴듯 유사한 편입니다. 

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사중구생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뜨 쭝 꺼우 신, 죽음 속에서 살 길을 찾다

뜨 쭝 꺼우 신 소개 한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있기야 하지만 거의 쓰지 않는 사자성어 중에 이 있습니다. 이순신 장군하면 우리는 필사즉생의 정신을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, 오늘 다루는 사자성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타방구식, 토사구팽, ...

 

 

 

4. thực 식 食

네 번째 자 thực은 첫소리 th에 나머지소리 {ưc}이 결합한 자입니다.

한자음 해부도
첫소리   나머지소리   한자음
th + ưc = thực
ㅅ, ㅊ, ㅌ 익, 역, 억, 윽

 

발음 유사도 (표기법 기준)

베트남 한자음 thực은 한국어로 [특]이라고 표기하며, 한국 한자음 <식>과는 첫소리의 발음이 다르고 나머지소리의 발음은 유사합니다. 

 

자세한 설명은 앞서 포스팅한 <약육강식>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느억 뉵 끄엉 특, 얄짤없는 정글의 세계

느억 뉵 끄엉 특 소개 한국에서처럼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베트남에서도 알려진 사자성어 중에는 이 있습니다. "약한 것은 고기고 강자에게 먹힌다"는 겉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약한 자가 강

kokovi.com

 

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어장

같은 자 혹은 철자만 같은 자를 다룬 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더보기   약육강식, ...

 

 

 

활용도 ★★★★

해당 사자성어는 베트남 현지 신문에 종종 인용되며 일상대화에서도 가끔 들을 수 있습니다.

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벌어먹고 살아야 하는 타향살이의 서러움과 고생스러움을 표현할 때 주로 쓰이며, 타방 tha phương 대신 타향 tha hương을 써서 타향구식 tha hương cầu thực이라고 하기도 합니다.

 

예시

 

&quot;타 프엉 꺼우 특&quot;을 인용한 기사 캡처

'타방구식'이 뭐길래... 귀향길 정체

돈 벌러 도시로 간 노동자들의 설 맞이 귀향 행렬
(출처: VNTB)

 


 

&quot;타 프엉 꺼우 특&quot;을 인용한 뉴스 영상

생계 위해 고향 떠났다가 투표권 잃어
(출처: VOA)

 

 

 

 

Chẳng ai muốn rời xa quê hương tha phương cầu thực cả

짱 아이 무온 러이 싸 꿰 흐엉 타 프엉 꺼우 특 까

누구도 고향을 떠나 먼 타지에서 고생하고 싶지는 않을 거예요

반응형

댓글